블루포인트파트너스(블루포인트)가 코스닥 상장 절차에 본격 돌입한다. 스타트업을 발굴해 성장을 지원하는 액셀러레이터(AC)로 첫 상장 도전이다.
블루포인트는 20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상장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2014년 설립된 블루포인트는 기술 기반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해 성장을 돕는 '테크 액셀러레이터'다.
2022년 상반기 기준 디지털(24%), 산업기술(20%), 데이터와 인공지능(18%), 헬스케어(16%), 바이오 및 메디컬(10%), 클린테크(8%) 분야의 255개 스타트업에 투자했으며, 최근 3년간 투자한 기업 90%가 생존해 있다.
이들의 총기업 가치는 약 4조458억원에 달한다. 대표적인 포트폴리오사로는 의료용 멸균기 제조사인 플라즈맵, 3차원 현미경 개발 업체인 토모큐브, 불가사리를 이용한 친환경 제설제 제조사인 스타스테크 등이 있다.
현재 플라즈맵, 토모큐브를 비롯한 10개의 포트폴리오사는 기업공개(IPO)를 준비하고 있다. 플라즈맵은 지난 19일 코스닥 신규 상장을 승인받고 21일 매매 거래를 개시할 예정이다. 인벤티지랩 또한 9월 22일 예비심사를 통과해 연내 상장을 준비 중이다.
블루포인트의 지난해 실적은 매출액 385억3000만원, 영업이익 241억7000만 원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2020년 대비 매출액은 106.5%, 영업이익은 234.3%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매출액 205억3000만원, 112억7000만원을 기록했다.
블루포인트는 글로벌 진출이 쉽고, 리스크 분산이 가능한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기술의 비즈니스화를 이끌어 내 비즈니스 경쟁력을 확보한다.
초기 성장 지원을 위해 투자 인력 외에도 포트폴리오그로스,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예비창업육성, 오픈이노베이션 등의 팀을 통해 액셀러레이팅 시스템을 구축했다.
시드 투자 이후 액셀러레이팅 과정을 거친 기업들이 시리즈A나 B 라운드 후속 투자 유치 시점에 도달하면 투자금 일부를 꾸준히 회수하는 이른바 '마일스톤 엑시트'(Milestone Exit) 전략을 통해 회수한 자금으로 새로운 기업에 재투자하는 방식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특정 포트폴리오가 수익을 견인하는 구조가 아닌, 다수의 포트폴리오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구조를 형성하여 지속적으로 차익을 실현하는 효과를 낸다.
이용관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대표는 "상장 이후 일반 투자자들도 블루포인트가 검증한 다수의 초기 유망 스타트업에 간접 투자하는 형태를 통해 리스크는 줄이고 스타트업 시장은 활성화하는 창업 생태계의 선순환을 이끌 계획이다”고 설명했다.